본문 바로가기
투자 노트

세스 클라만 :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

by 넝쿨V 2021. 8. 6.

세스 클라만 : 투자(投資)와 투기(投機)의 차이점

투자(投資)와 투기(投機)는 재물을 투하해서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은 같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한자(漢字)를 살펴보면 투자의 資(재물자)는 '자본'이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반면에 투기의 機(틀기)는 '기회'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단어에서도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투자는 재물(회사, 부동산 등)의 자본효율, 이익 성장과 같은 내재가치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투기는 시세 변동을 예상하느냐 오는 이익을 챙기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사전에서도 투기는 speculation(추측, 어림짐작)로 번역되네요.

아래에서 세스 클라만의 제1장, 투자vs투기 구절을 소개해드릴 건데요. 자신이 투자를 하고 있는지, 투기를 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사소한 행위만으로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출처 : 책<안전마진> p.22~39

"금융시장은 연약한 투자자들을 많은 유혹에 빠뜨린다.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기 쉽다. 감정은 투자자들에게 가까이 있는 위험한 것으로 특히 시장이 한쪽 방향으로 급격히 쏠릴 때 강화된다. 투자자들이 투기와 투자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미스터마켓이 제공하는 기회를 활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투기꾼들은 주가의 방향에 대한 예측과 추측에 사로잡혀 있다. 매일 아침의 방송, 매일 오후의 주식 시장 보고서, 주간 잡지, 매주의 수십여 개의 시장 뉴스레터 등 시장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유행하는 억측이 존재한다. 이들이 내리는 미래 가격 움직임에 대한 판단은 펀더멘털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예측에 기초하고 있다."

"성공적인 투자자는 다른 사람들의 탐욕과 공포를 손안에 가지고 놀 정도로 이성적이다. 스스로의 분석과 판단에 자신감을 가지고 시장의 힘에 대해 맹목적인 감정이 아닌 계산적인 합리성으로 반응하여 시장을 이용한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힘에 굴복하려는 성향에 맞서 싸워야만 한다. 당신은 시장을 무시해서는(투자 기회의 원천을 무시하는 것은 명백한 실수가 된다.) 안 되며 스스로 생각해서 시장이 당신을 이끌도록 해서도 안 된다. 가격만이 아닌 가격과 비교한 가치가 당신의 투자 의사결정에 사용되어야 한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