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4

현금의 재발견 : 기업가치와 수익을 극대화하는 경영자 모델 CEO는 투자자와 같다. 마찬가지로 투자자는 CEO처럼 생각해야 한다. 어떤 투자자든 투자자의 가장 중요한 책무다. 이 책은 기업 경영에 성과를 거둔 CEO 8명의 경영 전략을 분석하여 '최강의 경영자 모델'을 담아낸 책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 워런 버핏은 주주서한을 통해 이 책을 주주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에 올려놓기까지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본분배의 관점에서 탁월한 경영자의 특징과 가치와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업의 핵심 지표'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책에 나오는 역발상 CEO들 헨리 싱글턴 워런 버핏 톰 머피 존 말론 딕 스미스 빌 앤더스 빌 스티리츠 캐서린 그레이엄 아주 다양한 산업과 주식시장 상황에서, 역발상 CEO들은 독자적으로 움직였지만 매우 비슷한 핵심 원칙 근처에 모여 있었다.. 2022. 5. 16.
세스 클라만 :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 세스 클라만 : 투자(投資)와 투기(投機)의 차이점 투자(投資)와 투기(投機)는 재물을 투하해서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은 같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한자(漢字)를 살펴보면 투자의 資(재물자)는 '자본'이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반면에 투기의 機(틀기)는 '기회'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단어에서도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투자는 재물(회사, 부동산 등)의 자본효율, 이익 성장과 같은 내재가치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투기는 시세 변동을 예상하느냐 오는 이익을 챙기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사전에서도 투기는 speculation(추측, 어림짐작)로 번역되네요. 아래에서 세스 클라만의 제1장, 투자vs투기 구절을 소개해드릴 건데요. 자신이 투자를 하고 있는지, 투기를 하고.. 2021. 8. 6.
기업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는 네 가지 질문 현명한 투자자는 원인과 결과, 과거와 미래라는 네 가지 영역을 구석구석 조감합니다. 즉, 그 회사가 가치(이익)를 창출하는 구조를 파악합니다. 기업의 구조를 파악하지 않고 재무나 회계로부터 나오는 과거 수치에 현혹된다면 그 업계의 내부 사정을 매우 잘 알고 있더라도 미래의 회사 결과를 예측하는데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부터 아래 네 가지 질문을 통해 기업 이익의 원천을 파악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질문, 그 기업은 '무엇에서' 돈을 벌고 있는가? 기업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어떤 사업과 제품으로부터 나오고 있는가를 분해해야 합니다.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면 어느 사업에서 얼마만큼의 매출과 이익을 올리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때 결정적으로 이익에 공헌하고 있는 사업을 분석 대상으로 해야 합.. 2021. 2. 21.
투자 리스크 관리 - 포트폴리오 선택이론(해리 마코위츠)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들은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오래된 지혜를 체계화한 이론이다. 나는 그중 해리 마코위츠(Harry M. Markowitz)의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이 투자자에게 안정적이면서도, 특히 개념이 간단하여 쉽게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기대수익률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해리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은 14페이지 분량의 짧은 논문으로 1990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수익률의 변동 폭을 줄여라.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에서는 수익률의 변동 폭이 작다면 더 좋은 분산투자라고 말한다. 변동 폭을 줄이기 위해서 상관관계가 반대이거나 상관관계를 낮은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온다면 우산 만드는 회사가 10퍼센트 상승.. 2021.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