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노트7

단순화(Core+Compact) 회사 업무뿐만 아니라 개인 사생활, 투자 등 모든 일들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세상만사에 소음이 너무 많다. 일일이 신경 쓰다 보면 머리만 아프다. 군더더기는 과감히 버리고 소중한 것에 집중해야 업무도, 인간관계도, 행복도 자연스럽게 찾아온다. # Simplicity = Core + Compact 우리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모든 것에 제품을 다 넣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 회사 샴푸만 봐도 좋다고 알려진 성분이 거의 다 들어 있습니다. 샴푸에 실리콘을 넣으면 머리를 차분히 가라앉게 하는 효과가 있어 한때 크게 유행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에 따라서는 실리콘이 들어가면 파마가 풀린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머리가 짧고 숱이 적은 경우는 머리숱이 더 없어 보이게도 만듭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소비자의 다양한 .. 2021. 5. 22.
업의 본질, 재정의 업의 본질은 시장 변화에 맞게 계속 진화를 해야 한다. (소비자 중심, 실용적인 관점으로) 유연성은 위기 대처 능력으로 이어진다. # 업의 본질, 재정의 2018년 한 해 동안 우리 화장품 사업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기대 이상의 높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우리의 시장점유율은 1% 수준으로, 큰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이제 막 출발선에 섰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우리가 갖지 못한 99%의 시장은 매력적인 기회임에 분명하지만, 시시각각 변하는 소비자와 수많은 경쟁자들 틈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사가 따라 하지 못할 우리만의 '우수한 무엇'이 필요합니다. 우리만의 그 무엇을 찾아내기에 앞서 우리 업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보았습니.. 2021. 5. 22.
공정능력, 품질변동을 관리하는 방법 공정능력은 제품이 공정에서 생산될 때, 그 공정이 만들어내는 제품의 품질의 달성 능력을 말한다. 공정능력을 관리한다면 제품의 불량 및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고, 미리 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정능력은 신제품 개발 또는 4M변경과 같은 품질 변동이 발생할 때, 반드시 검토해야하는 내용이다. 자동차 업계의 경우에도 공정능력은 개발초기부터 양산시작 이후에도 꾸준히 관리해야하는 필수 항목이다. 공정능력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Cp(Process capability)와 Cpk(Process capability index)가 있다. 이 지수들은 품질변동(산포)와 제품 규격(공차)를 비교하여 나타낸 값이다. 대부분 Cp보다는 Cpk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Cp는 단지 산포만을 고려하는 지수이기 때문이다. Cp.. 2020. 12. 21.
품질변동 관리, 품질 예방을 위해 필요한 것 품질변동 요인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한다. 품질이 어려운 이유는 품질변동 요인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제품 설계부터 생산, 검사, 물류, 고객에게 전달될 때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단순히 제조자 관점으로만 품질을 생각한다면 언젠가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품질 예방을 위해 품질변동 요인을 찾아, 관리를 해야 한다. 품질변동 요인의 대표적인 것은 사람(Man), 설비(Machine), 재료(Material), 방법(Method)이다. 작업자가 표준으로 작업을 이행하는지, 생산설비의 생산능력은 문제가 없는지, 재료는 올바른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지, 생산품 기록관리 방법 등등의 품질변동 요인이 있다. 이 외에도 기후 환경도 중요한 품질변동 요소 중 하나이다. 예를 들.. 2020. 11. 24.
품질 - 산포의 정의 '산포'는 각 데이터 값의 퍼짐의 크기를 말한다. 부품, 제품은 특정한 데이터 값(높이, 길이, 점수 등)을 가지고 있다. 이 데이터 값을 나열해보면 데이터 값의 퍼진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퍼짐의 크기'를 산포라고 한다. 산포가 크다는 것은 데이터 값이 퍼져있다는 뜻이다. 위 그림1을 예시로 들면, 팀A는 30~70점에 데이터 값이 분포되어 있다. 팀B는 20~80점에 데이터 값이 분포 되어 있다. 즉, 팀B는 데이터 값이 넓게 퍼져있으므로 산포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산포가 큰 제품은 품질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부품, 제품은 특정한 SPEC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그림2를 보겠다. 과녁 A와 B 중 어떤 것이 산포가 클까? 답은 A이다. 부품, 제품을 제조할 때, 산포가 발생하.. 2020. 11. 21.
품질비용 - 1:10:100 법칙 1:10:100 법칙은 품질비용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법칙이다. 품질비용에는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이 있는데, 예방하는데 드는 비용이 1이라면 평가하는데는 10, 실패하면 드는 비용이 100이란 의미다. 규모가 큰 회사라면 실패비용이 100이 아닌 더 높을 수도 있다. 경험상 해외공장에서 부품 하나에 작은 문제가 생겨, 수 천만원의 실패비용을 지불한 적이 있다. 절대 간과할 수 없는 비용이다. 최근 현대자동차가 세타2 GDi 엔진 평생 보증 품질 충당금으로 2조 1,000억원을 사용해,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했다는 기사를 봤다. 그만큼 품질비용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즉, 품질 업무는 이러한 품질비용을 최적으로 줄여,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무이다. 또한 품질수준이 향상된다면 고객만.. 2020.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