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노트10

현금의 재발견 : 기업가치와 수익을 극대화하는 경영자 모델 CEO는 투자자와 같다. 마찬가지로 투자자는 CEO처럼 생각해야 한다. 어떤 투자자든 투자자의 가장 중요한 책무다. 이 책은 기업 경영에 성과를 거둔 CEO 8명의 경영 전략을 분석하여 '최강의 경영자 모델'을 담아낸 책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CEO 워런 버핏은 주주서한을 통해 이 책을 주주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에 올려놓기까지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본분배의 관점에서 탁월한 경영자의 특징과 가치와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업의 핵심 지표'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책에 나오는 역발상 CEO들 헨리 싱글턴 워런 버핏 톰 머피 존 말론 딕 스미스 빌 앤더스 빌 스티리츠 캐서린 그레이엄 아주 다양한 산업과 주식시장 상황에서, 역발상 CEO들은 독자적으로 움직였지만 매우 비슷한 핵심 원칙 근처에 모여 있었다.. 2022. 5. 16.
세스 클라만 :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 세스 클라만 : 투자(投資)와 투기(投機)의 차이점 투자(投資)와 투기(投機)는 재물을 투하해서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은 같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한자(漢字)를 살펴보면 투자의 資(재물자)는 '자본'이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반면에 투기의 機(틀기)는 '기회'라는 단어에 쓰입니다. 단어에서도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투자는 재물(회사, 부동산 등)의 자본효율, 이익 성장과 같은 내재가치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투기는 시세 변동을 예상하느냐 오는 이익을 챙기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사전에서도 투기는 speculation(추측, 어림짐작)로 번역되네요. 아래에서 세스 클라만의 제1장, 투자vs투기 구절을 소개해드릴 건데요. 자신이 투자를 하고 있는지, 투기를 하고.. 2021. 8. 6.
V차트 - 채무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차입금, 이자비용) V차트 - 채무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차입금, 이자비용) 이번 편에서는 채무 지수(차입금, 이자비용)로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겠습니다. 채무 지수는 순이익 지수에서 좀더 자세히 파고 들어가 영업외 부분에서 이익의 증감 요인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빚(=부채)은 단순히 갚아야 한다는 나쁜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기업에게 부채는 레버리지 효과로 큰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는 재원이 되기도 합니다. 투자자가 할 일은 자본효율설에 입각해서 부채가 잘 사용되고 있는지, 부채가 과다해서 기업 존폐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지, 이자비용이 이익을 훼손하지는 않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반대로 부채를 쓰지 않으면 주주가 기업 자원의 대부분을 주주가 부담해야 합니다. 부채의 속성을 분명히 인식하고 기업.. 2021. 4. 3.
V차트 - 이익률, PER, PBR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 V차트 - 이익률, PER, PBR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 이전 편 순이익 지수(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에 이어 (이익률과 가치평가 지수)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존재 이유가 '이익을 남기는 것'이라면 문제는 '얼마나 남기느냐'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마진(margin)이라고 합니다. 높은 마진을 가진 기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강력한 무형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무형가치는 강력한 브랜드, 구조가 튼튼한 비즈니스 모델, 탁월한 기술력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기업은 충성도 있는 고객으로 인해 가격을 올려도 수요가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구조가 튼튼한 비즈니스 모델은 매출이 증가할수록 순이익의 증가폭이 높게 나타납니다. 탁월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은 경쟁자가 없어 .. 2021. 3. 29.
V차트 - 순이익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V차트 - 순이익 지수로 좋은 기업 찾기(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이번 글부터 다양한 V차트 해석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V차트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비교해봄으로써 기업의 가치(=이익의 질)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1) 주가-순이익 지수 기업의 존재 이유는 이윤추구이므로 기업의 이익은 기업가치와 동반합니다. 즉, 순이익의 상승은 기업가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기업가치의 상승은 이윤을 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겨, 지분을 얻기 원하는 투자자들에 의해 주가로 수렴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장단기적으로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오해, 비이성적인 시장의 폭락 등으로 주가가 하락하거나 제자리걸음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평가가 오해에.. 2021. 3. 21.
V차트(Value Chart) - 핵심 개념(연환산, 추세와 패턴) V차트(Value Chart) - 핵심 개념(연환산, 추세와 패턴) V차트는 흔히 가격과 거래량을 가지고 만드는 기술적 분석에 이용되는 차트와 다르다. 기업의 순이익, 매출액 등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그래프화한 차트이다. 시각적으로 그 흐름과 추세를 통해 어떤 기업이 좋은 기업이고 어떤 기업이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격적인 분석 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투자에 적용하기가 좋다. 숫자에서 투자 아이디어 찾는 V차트의 핵심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V차트의 핵심 개념1. 연환산 연환산이란 최근 4분기 데이터를 합산해 1년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연환산을 하는 이유는 기업은 연 단위와는 상관없이 연속적인 영업을 하기 때문이다. 연환산을 통해 각 분기마다 연 단위의 .. 2021.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