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노트

품질 - 산포의 정의

by 넝쿨V 2020. 11. 21.

 

그림1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산포'는 각 데이터 값의 퍼짐의 크기를 말한다.

 부품, 제품은 특정한 데이터 값(높이, 길이, 점수 등)을 가지고 있다. 이 데이터 값을 나열해보면 데이터 값의 퍼진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퍼짐의 크기'를 산포라고 한다. 산포가 크다는 것은 데이터 값이 퍼져있다는 뜻이다. 위 그림1을 예시로 들면, 팀A는 30~70점에 데이터 값이 분포되어 있다. 팀B는 20~80점에 데이터 값이 분포 되어 있다. 즉, 팀B는 데이터 값이 넓게 퍼져있으므로 산포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산포가 큰 제품은 품질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부품, 제품은 특정한 SPEC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2 (출처 : 덴스타 품질교육)

 이번에는 그림2를 보겠다. 과녁 A와 B 중 어떤 것이 산포가 클까? 답은 A이다. 부품, 제품을 제조할 때, 산포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A와 B는 100% 같은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무리 노력해더라도 A와 B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제조 공정에서는 4M(사람, 설비, 재료, 방법), 또는 기타 환경에서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품질변동 요인'이라 하며, 산포를 개선하기 위해서 품질변동 요인을 관리해야 한다.

 

참고 : 과녁 B의 산포는 작다. 하지만 목표값(중앙)에는 명중하지 않았다. 이것을 '치우침 정도(k : 공정평균이 규격중심에서 벗어나는 정도)'라고 한다. 치우침도는 산포와 더불어 품질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댓글